페이지 타이틀 배경 모바일 버전

언론보도

다수의 언론매체에서 법무법인(유한) 대륜의 전문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대륜 소속 변호사 인터뷰·법률자문·칼럼을 확인해 보세요.

불법 사무장병원 적발 시 요양급여환수처분 근거법 국회 통과, 건보법 개정안 살펴보면

언론매체 이투뉴스
이미지

2023-03-24

조회수 259

불법 사무장병원 적발 시 요양급여환수처분 근거법 국회 통과, 건보법 개정안 살펴보면

불법 사무장병원에 대한 요양급여환수 조치 관련 근거를 명확히 하는 법안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를 통과하면서 향후에는 적발된 사무장병원에 대해 형사처분, 행정처분 외에도 요양급여환수처분까지 받을 수 있게 되었다.


기존에는 사무장병원 적발 시에도 건보법상 규정이 없다는 이유로 요양급여 환수 조치가 어려웠으나, 불법 사무장병원과 면대약국 등에 대한 요양급여비 환수 근거를 명확히 하는 국민건강보험법 개정안이 지난 2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를 통과되면서 제도적 보완이 이루어진 것이다.


불법 사무장병원은 의료기관을 개설할 수 없는 자가 의료인의 명의를 대여하여 병원을 세우고, 의사를 고용해 운영하거나 의사라고 할지라도 복수병원을 운영할 수 없음에도 다른 의사의 명의로 개설하여 운영하는 병원을 뜻한다.


이러한 사무장병원 개설 및 운영은 의료법상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고, 불법운영 기간동안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청구하여 수령한 요양급여가 모두 사기죄로 인정되어 처벌 및 환수 조치가 이루어진다.


또한 운영기간이 길면 길수록 금고이상의 실형에 처해질 확률이 높아지고, 해당 병원이 사무장병원이라는 것을 알고도 고용된 의사는 의사 면허 취소 처분이 이루어질 여지가 높다. 봉직의 경우에도 방조혐의가 적용되어 형사처벌과 함께 1년 이내의 자격정지 처분이 내려진다.


현행 의료법 제33조 제2항에 따르면 의료기관을 개설할 수 있는 자격을 의료인 등으로 엄격히 제한하고 있으며, 의료인 등이 아니면 의료기관을 개설할 수 없다. 의료법이 이와 같은 규정을 둔 이유는 건전한 의료질서를 확립하고 영리목적으로 의료기관을 개설하는 경우에 발생할지도 모르는 국민 건강상의 위험을 미리 방지하기 위한 취지다.


법무법인(유한)대륜 김은영변호사는 “사무장병원으로 인정될 시 의료법상 처벌수위가 매우 높은데다 건보 요양급여 환수 및 의사면허취소 등 뒤따르는 행정조치 역시 강도 높게 이루어진다”면서 “만약 사무장병원이라는 사실을 모른 채 근무하였다면 의료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확실하게 대처해야만 한다”라고 조언했다.


기사전문보기 - 불법 사무장병원 적발 시 요양급여환수처분 근거법 국회 통과, 건보법 개정안 살펴보면

모든 분야 한 눈에 보기

1/0

방문상담예약접수

법률고민이 있다면 가까운 사무소에서 중대재해전문변호사와 상담해보세요

이름

연락처

사무소

select icon

사건분야

select icon

문의내용

24시간 운영
대화 배경

법무법인(유한)대륜

안녕하세요. 법무법인(유한)대륜입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한 점이나 도움이 필요하신 부분 말씀해 주시면 도와드리겠습니다. ※ 성함과 연락처를 남겨주시면 갑작스럽게 채팅이 중단될 경우 전화나 문자(알림톡)를 통해 중요한 답변을 놓치지 않도록 도와드리고 있으며 이전 내역 확인 후 빠른 안내가 가능합니다.   ※ 만 14세 미만의 경우에는 보호자의 동의 없이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이 불가능합니다. 만 14세 미만의 미성년자의 경우 법정대리인의 연락처를 알려 주시면 동의서를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채팅방을 나가신 후 문의하실 경우에도 동일한 내용으로 대화를 이어가실 수 있습니다.   수집된 개인 정보는 답변 알림 및 상담예약안내 목적으로만 이용되며 삭제를 요청하시기 전까지 보유됩니다. 개인정보 입력시 개인정보제공에 동의한 것으로 봅니다. 개인정보제공에 동의하지 않으실 경우 답변 알림을 받으실 수 없습니다. ✅ 6:00~24:00 외 시간에는 인력편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응대를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빠르게 답변 받으실 수 있어요